좋은글

八竹詩

달음산 2010. 9. 2. 16:42

팔죽시(八竹詩)

우리나라불교 고승 가운데 3명의 행보가
눈여겨 볼만하다.그 3명이란 7세기에 활동 하였던
의상(義相) 원효(元曉) 부설(浮雪)이다.
의상과 원효는 해골바가지 물먹은 사건으로 널리
알려저있다.부설은 별로 알려저 있지 않다.
흔히 부설거사 로 불린다.

결혼하여 아들과 딸이 있었기 때문이다.
3인은 여자와 결혼 문제에 대하여 각기
대처방식이 달랐다. 먼저 의상은 철저하게
여자를 멀리하는 청정비구(淸淨比丘)의 삶이였다.
의상을 죽도록 사모했던 중국처녀 선묘(善妙) ,
그녀는 자신의 사랑이 받아지지않자 물속에
뛰어들어 용이 되었다.

죽어서 용이된 선묘는 영주 부석사에까지
따라와 의상을 지키는 신장(神將)이 되었다.
원효는 요석공주와 잠깐 살면서 아들 설총을 낳았다.
그렇지만 요석궁에서 결혼생활은 계속하지는 않고
다시 승려생활로 되돌아갔다.

부설은  도반스님들과 순례를 하던중에
묘화(妙花)라는 처녀의 간곡한 청혼을 받는다.
하도 간곡하게 청혼을 하는 바람에 차마 거절하지
못한다. 결혼해서 아들(登雲)과 딸(月明)을
낳은 뒤에도 계속 수행에

정진하여 도통 하였다고 전해진다.
부설 자신뿐만 아니라 이후에 부인과
아들 딸이 모두 도통하였다. 부설거사 일가족이
도통한 자리가 변산 월명암(月明庵)이다.
월명암에는 부설거사가 남긴 시가
전해 내려온다. 읽어 볼 때마다 참 기막힌
시라는 생각이든다. 그 시 제목이 팔죽시다.

此竹彼竹化去竹
(이런대로 저런대로 되어가는대로 )
風打之竹浪打竹
(바람 부는대로 물결 치는대로)
粥粥飯飯生此竹
(죽이면 죽 밥이면 밥 이런 대로 살고)
是是非非看彼竹
(올으면 옳고 그르면 그르고 저런대로 보고)
賓客接待家勢竹
(손님 접대는 집안 형편대로)
市井賣買歲月竹
(시장물건 사고 파는것은 세월대로)
萬事不如吾心竹
(세상만사 내마음대로 되지 않아도)
然然然世過然竹
(그렇고 그런세상 그런대로 보내네)
조선일보에서..

 

'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해지고싶은 그대여  (0) 2010.09.03
기분 전환법  (0) 2010.09.02
돌고래의 동료사랑  (0) 2010.09.02
신맹모 삼천지교  (0) 2010.09.02
고통을 푸는 방법  (0) 2010.09.02